학력 |
· B.S.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· M.S.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(수료) · Th.M. Dallas Theological Seminary · Ph.D. Dallas Theological Seminary |
---|---|
저서 |
· 『그 마음의 성실함으로』 (편저,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출판부, 2016) · 『패턴으로서의 고난받는 종의 전형—신약의 이사야 53장 해석과 사용』 (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출판부, 2017) |
역서 |
· 『영적 성장의 원리』 (나침반사, 1990) · 『모든 이를 위한 구약성경 개론』 (요단출판사, 1995) · 『문학으로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』 (은성, 1996) · 『제사장의 나라—구약 이스라엘의 역사』 (기독교문서선교회, 1997) · 『지혜로 가정을 세우라』 (기독교문서선교회, 1998) · 『한눈에 보는 성경』 (디모데, 1999) · 『다윗—뜨거운 가슴과 한결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』 (생명의말씀사, 1999) · 『리더십이 자라는 창의력혁명』 (디모데, 1999) · 『요셉—순전한 믿음으로 꿈을 이룬 사람』 (생명의말씀사, 2001) · 『모세—아낌없이 자신을 드린 사람』 (생명의말씀사, 2001) · 『바울—은혜와 근성의 사람』 (생명의말씀사, 2004) · 『이사야서의 역사적 신학적 강해』 (크리스챤출판사, 2009) · 『이 혼란한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?』 (디모데, 2010) · 『점진적 세대주의—하나님 나라와 언약』 (기독교문서선교회, 2016) · 『이스라엘과 교회에 대한 관점-네 가지 견해』 (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출판부, 2016) · 『연속성과 불연속성—신구약성서의 관계』 (공역,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출판부, 2016) · 『우리는 무엇을 기다리는가?—요한계시록 주석』 (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출판부, 2017) · 『청교도들의 종말론—세대주의 전통을 포함한 다양성』 (공역,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출판부, 2017) · 『설교의 비전—목회 사역의 심장을 이해하기』 (공역,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출판부, 2018) · 『모든 사람을 위한 조직신학1』 (공역,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출판부, 2018) |
논문 |
· “Marriage in the Old Testament”『성침논단』1집 (2003): 69~99. · 「갈라디아서 3:16에서의 구약 사용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」『성침논단』 2집 (2004): 99~124. · 「너는 말씀을 전파하라! : 원문에서 시작하는 구약 본문 강해설교 준비법」『성침논단』 3집 (2005): 95~154. · 「본문에 보다 더 충실한 설교 :왜 강해설교인가?」『교회성장』 통권150호 (2005): 28~33. · 「이사야서 몇 본문들의 해석 예들을 통해 살펴본 구약 예언서 해석의 원리」『성침논단』 5집 (2007): 93~136. · 「하나님이 기뻐하시고 쓰시는 사람 : 창세기 18장 16-33절」『성서마당』 신창간14호 (2007): 47~59. · 「베드로전서 2:22~25에서의 이사야 53장의 사용과 이로부터 유추된 해석학적, 설교학적 원리」『구약논집』 제2집 (2007): 9~57. · 「이사야서의 ‘야웨의 종’과 ‘종들,’ 그리고 예수 공동체-복음주의 신학의 미래를 위한 Servant Theology」『성경과 신학』 47권 (2008): 116~49. · 「이사야 55:1-5에 나타난 다윗 언약의 대중화와 그것이 그리스도인/교회에 가지는 함의」『성침논단』 7집 (2010): 5~52. · 「이사야 53장과 같은 시적, 예언적 본문의 해석에 있어 시학에 근거한 문학적-해석학적 접근」『성침논단』 8집 (2011): 5~37. · 「너는 복의 표본이 되어라 : 창세기 12장 1-3절」『성서마당』 신창간28호 (2011): 51~68. · 「이사야 61:1-2의 영향사와 예수님의 나사렛 회당 선포(누가복음 4:18-19), 그리고 그리스도인에게 미치는 효과」『성침논단』 10집 (2013): 5~34. · 「성경에 나타난 '통일, 하나 됨'/ 구약_요셉의 가족사, 하나 됨, 그리고 통일」『성서마당』 Vol.111 (2014): 10~19. · 「전천년설과 무천년설에 대한 성서적 근거 고찰(천년왕국론): 계시록 20:1~6을 중심으로」『성침논단』 11집 (2016): 5~72. · 「제2계명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라(출 20:4~6)」『그말씀』 통권525호 (2010): 64-83. · 「열방에 대한 심판 신탁이 주는 의미(겔25장~28장)」『그말씀』 통권204호 (2006): 40-51. · 「시편 2편의 간본문 해석, 영향사, 설교 활용」 『성침논단』 12집 (2018): 7~45. · 「계시록 해석의 새 패러다임: ‘다중적-미래절정적 해석’―마태복음 24장과 연관하여」 『성침논단』 13집 (2022): 7~45. |